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걷기 운동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기

by 투린파파 2022. 5. 20.
반응형

걷기 운동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기

걷기 운동이 좋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요즘 사람들에게 있어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가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생각한다면 일주일에 2~3회 걷기 운동을 하는 게 좋습니다. 운동장이나 산책로가 아니더라도 퇴근길을 1~2 정류장 정도를 걸어가는 것만으로도 걷기 운동이 가능합니다. 꾸준한 걷기 운동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심장마비 예방]

멀쩡하던 사람도 갑작스러운 심장 이상으로 유명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평소 건강하다고 자만하지 말고 심장 건강에 신경을 쓰고 운동을 통해 예방하면 좋습니다. 걷기 운동만 꾸준히 해도 심장마비의 위험을 37% 낮출 수 있습니다. 평소 심장 질환을 앓고 있거나 회복기에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꾸준히 걷기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한데, 치료와 함께 걷기 운동을 병행하면 심장을 건강하게 회복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치매예방 및 기억력 개선]

일반적으로 건강한 성인은 뇌의 기억력을 담당하는 해마가 1년에 약 1~2%씩 감소하며 인지증으로 인한 해마의 축소는 급속도로 진행됩니다. 미국 피츠버그 대학 심리학과 교수인 커크 에릭슨 박사에 따르면 활발한 걷기 운동을 1년 이상 지속하면 뇌의 기억중추인 해마를 키울 수 있으며 기억 기능 개선 및 위축 단계에서도 다시 건강한 뇌로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하루에 30분씩 걷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치매에 걸릴 확률이 44%나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면역력 증진]

1000명 정도의 남성/여성들을 대상으로 걷기 운동과 면역력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한 이력이 있습니다. 1일 20분, 1주일 기준 5일 이상 걷게 한 결과 걷기 운동을 1주일 1회 이하로 걷던 때 대비 사소한 질환 발생률이 무려 43% 개선됐다고 하며 또한 질환이 생기더라도 비교적 빨리 회복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걷기 운동은 지금처럼 면역력을 요구하고 필요한 시대에 아주 적합한 운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체 근육 발달]

걷기 운동을 하면 바이크 선수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하체 근육의 발달로 인해 튼튼한 허벅지와 종아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일부 여성들은 종아리 근육이 발달하면 종아리 뒤쪽으로 볼록 튀어나오는 알통이 생긴다며 하체 근육 발달에 좋은 운동을 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운동선수만큼 격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면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더 매끈하고 아름다운 라인의 다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체 근육이 소실되는 중장년층 역시 걷기 운동을 꾸준히 하면 건강한 허벅지와 다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울증 개선]

우울증이 심한 사람이 걷기 운동을 하면 활력은 물론 행복감까지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혈액순환이 활성화돼 세포 속으로 산소 공금이 증가되고 관절 및 근육의 긴장도를 완화시켜 활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우울증 약물과도 비슷한 효능이라고 하고 엔도르핀 생성을 촉진해 불안감, 스트레스를 감소해 주는데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당뇨 예방]

당뇨병 환자라면 매일 최소 30분씩 걸으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걷기는 당뇨인들에게 많이 권장되는 운동입니다. 걷기 운동을 하면 근육과 지방 세포들의 인슐린 작용이 활발해져 당뇨병 개선 및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 당뇨병이 심한 경우에는 걷기 운동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고, 병원 치료 및 약 복용과  함께 식이요법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개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체중을 줄이기 위해 칼로리 제한이 필요하고 지방을 적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다이어트 및 몸매 탄력성 증가]

평균 체중인 60kg 성인이 1일 30분 3.5km 가량을 걸으면 150칼로리가 소모됩니다. 단순한 수치로는 150칼로리이지만 걷기 운동과 더불어 하체 근력도 증가해 기초대사량 상승을 유발하는데 이럴 경우 체중 감소에 특화된 루틴이 완성되게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걷기 운동을 하면 단순히 다리의 근력 강화 외에도 둔부 즉 엉덩이 근육 및 복근 근육까지 단련돼 몸매 탄력성을 증가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